안녕하세요. 대한산부인과의사회-네이버 지식iN 상담의사 김화정 입니다.
저는 여성곤지름(콘딜로마, 여성성기사마귀)을 수천건의 치료경험이 있고, 현재 서울 5호선 발산역 NC백화점 인근 마곡에서 진료를 하고 있는 산부인과 전문의 여의사 입니다.
가장 먼저 파트너의 곤지름 진단이 중요하며 확진이 되었다면, 여성의 생식기는 외음부만 있는 것이 아니므로 전반적으로 진찰이 필요합니다.
곤지름은 <밀접한 피부 접촉으로 인한 HPV의 감염>으로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단순한 침구, 의류등으로 감염되지 않습니다.
곤지름(콘딜로마)은 육안으로 90% 이상 진단이 가능하지만, 10%에서는 다른 질환과 구분이 되지 않아 조직검사를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곤지름(콘딜로마) 진단 시 트리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 acetic acid)이라는 진단 시약을 사용하는데요. 흔히 일반 클리닉에서 사용하는 아세트산(빙초산, acetic acid)이라고 하는 시약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특히 진단 시약에 적합하지 않는 아세트산을 사용하는 경우 부적절한 반응으로 검사를 망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째든 시약 반응 검사에서 하얗게 되는 경우를 양성이라고 하는데,
이는 곤지름(콘딜로마) 초기 때만 나타나는 징후라서, 극초기 혹은 3개월 이상 오래된 병변에서는 반응을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실제 이 시약검사를 하더라도 육안적 진단을 하는 의사의 진료 경험이 부족하면 잘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정말 경험이 많은 진료의사는 시약반응 검사만으로도 곤지름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곤지름(콘딜로마)가 생기는 부분은 여성의 외음부, 질 속, 자궁경부, 항문 주변, 항문안쪽, 요도 안쪽 등 회음부 전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 곤지름(콘딜로마)로 오신 여성 환자분들의 50% 이상은 질 속 혹은 요도 안쪽, 항문 안쪽에 곤지름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질 속과 외음부는 산부인과에서 항문 속은 항문외과, 요도 안쪽은 비뇨기과에서 주로 진료를 보는 이유에서 각각 진료과에서 따로 진단을 하고 치료하는 경향이 있는데요.
저희는 종합적으로 이 모든 부위를 한번에 확인하고 치료를 받으실 수 있는 유일한 병의원(클리닉)입니다.
혹시 수도권에 사시거나 지방에서 사셔서 좀 멀더라도 치료를 원하셔서 예약 후 방문주시면 정확한 진찰 후에 속 시원한 상담과 치료를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